여름의 서재
[백준] 2559_수열 본문
📕 문제
매일 아침 9시에 학교에서 측정한 온도가 어떤 정수의 수열로 주어졌을 때, 연속적인 며칠 동안의 온도의 합이 가장 큰 값을 알아보고자 한다.
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이 10일 간의 온도가 주어졌을 때,
3 -2 -4 -9 0 3 7 13 8 -3
모든 연속적인 이틀간의 온도의 합은 아래와 같다.
이때, 온도의 합이 가장 큰 값은 21이다.
또 다른 예로 위와 같은 온도가 주어졌을 때, 모든 연속적인 5일 간의 온도의 합은 아래와 같으며,
이때, 온도의 합이 가장 큰 값은 31이다.
매일 측정한 온도가 정수의 수열로 주어졌을 때, 연속적인 며칠 동안의 온도의 합이 가장 큰 값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는 두 개의 정수 N과 K가 한 개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. 첫 번째 정수 N은 온도를 측정한 전체 날짜의 수이다. N은 2 이상 100,000 이하이다. 두 번째 정수 K는 합을 구하기 위한 연속적인 날짜의 수이다. K는 1과 N 사이의 정수이다. 둘째 줄에는 매일 측정한 온도를 나타내는 N개의 정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이 수들은 모두 -100 이상 100 이하이다.
출력
첫째 줄에는 입력되는 온도의 수열에서 연속적인 K일의 온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값을 출력한다.
💡 풀이법
처음에는 슬라이싱을 하려고 했다.
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
temperature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ax_sum = 0
for i in range(N):
s = sum(temperature[i:i+K])
if s > max_sum:
max_sum = s
print(max_sum)
설마 이렇게 쉬울리가 했는데 역시 시간초과.. ㅋㅋㅋㅋㅋ
슬라이싱은 아무래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.
그래서 차라리 한 칸씩 옮길때마다 맨 앞 숫자는 빼주고, 추가될 숫자는 더해주는 식으로 구현했다.
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
temperature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s = max_sum = sum(temperature[:K])
for i in range(K, N):
s -= temperature[i-K]
s += temperature[i]
if s > max_sum:
max_sum = s
print(max_sum)
통과!
'알고리즘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2477_참외밭 (0) | 2021.08.22 |
---|---|
[백준] 2578_빙고 (0) | 2021.08.22 |
[백준] 20437_문자열 게임2 (0) | 2021.08.21 |
[백준] 2606_바이러스 (DFS 이용) (0) | 2021.08.21 |
[백준] 2304_창고 다각형 (0) | 2021.08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