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름의 서재
[백준] 9935_문자열 폭발 본문
728x90
📕 문제
상근이는 문자열에 폭발 문자열을 심어 놓았다. 폭발 문자열이 폭발하면 그 문자는 문자열에서 사라지며, 남은 문자열은 합쳐지게 된다.
폭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.
- 문자열이 폭발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, 모든 폭발 문자열이 폭발하게 된다. 남은 문자열을 순서대로 이어 붙여 새로운 문자열을 만든다.
- 새로 생긴 문자열에 폭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.
- 폭발은 폭발 문자열이 문자열에 없을 때까지 계속된다.
상근이는 모든 폭발이 끝난 후에 어떤 문자열이 남는지 구해보려고 한다. 남아있는 문자가 없는 경우가 있다. 이때는 "FRULA"를 출력한다.
폭발 문자열은 같은 문자를 두 개 이상 포함하지 않는다.
[입력]
첫째 줄에 문자열이 주어진다. 문자열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
둘째 줄에 폭발 문자열이 주어진다.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36보다 작거나 같다.
두 문자열은 모두 알파벳 소문자와 대문자, 숫자 0, 1, ..., 9로만 이루어져 있다.
[출력]
첫째 줄에 모든 폭발이 끝난 후 남은 문자열을 출력한다.
💡 풀이법
1. 문자열이 최대 1,000,000이기 때문에 일반 리스트를 쓰면 안 되고 스택을 써야 한다.
2. string을 돌면서 new라는 새로운 문자열에 더해간다. 그러다 폭발 문자열의 뒷문자와 new 문자열의 뒷문자와 같다면
그때 그 단어가 new에 있느지를 판별하고 있다면 길이만큼 pop을 한다.
import sys
string = list(sys.stdin.readline().strip())
bomb = list(sys.stdin.readline().strip())
new = []
l = len(bomb)
for i in string:
new.append(i)
if i == bomb[-1]:
if new[-l:] == bomb:
i = 0
while i < l:
new.pop()
i += 1
if new:
print(''.join(new))
else:
print('FRULA')
'알고리즘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600_말이 되고픈 원숭이 (BFS 이용) (0) | 2021.09.15 |
---|---|
[백준] 2960_에라토스테네스의 체 (0) | 2021.09.15 |
[백준] 1261_알고스팟 (bfs 이용) (0) | 2021.09.14 |
[백준] 11279_최대 힙 (0) | 2021.09.09 |
[백준] 16236_아기 상어 (BFS 이용) (0) | 2021.09.07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