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름의 서재
[백준] 1261_알고스팟 (bfs 이용) 본문
📕 문제
알고스팟 운영진이 모두 미로에 갇혔다. 미로는 N*M 크기이며, 총 1*1크기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. 미로는 빈 방 또는 벽으로 이루어져 있고, 빈 방은 자유롭게 다닐 수 있지만, 벽은 부수지 않으면 이동할 수 없다.
알고스팟 운영진은 여러명이지만, 항상 모두 같은 방에 있어야 한다. 즉, 여러 명이 다른 방에 있을 수는 없다. 어떤 방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빈 방이다. 즉, 현재 운영진이 (x, y)에 있을 때, 이동할 수 있는 방은 (x+1, y), (x, y+1), (x-1, y), (x, y-1) 이다. 단, 미로의 밖으로 이동 할 수는 없다.
벽은 평소에는 이동할 수 없지만, 알고스팟의 무기 AOJ를 이용해 벽을 부수어 버릴 수 있다. 벽을 부수면, 빈 방과 동일한 방으로 변한다.
만약 이 문제가 알고스팟에 있다면, 운영진들은 궁극의 무기 sudo를 이용해 벽을 한 번에 다 없애버릴 수 있지만, 안타깝게도 이 문제는 Baekjoon Online Judge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, sudo를 사용할 수 없다.
현재 (1, 1)에 있는 알고스팟 운영진이 (N, M)으로 이동하려면 벽을 최소 몇 개 부수어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[입력]
첫째 줄에 미로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로 크기 M, 세로 크기 N (1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미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0과 1이 주어진다. 0은 빈 방을 의미하고, 1은 벽을 의미한다.
(1, 1)과 (N, M)은 항상 뚫려있다.
[출력]
첫째 줄에 알고스팟 운영진이 (N, M)으로 이동하기 위해 벽을 최소 몇 개 부수어야 하는지 출력한다.
💡 풀이법
1. 최단 거리이기 때문에 bfs를 이용해야 한다.
2. 0인 길을 먼저 가야하고 1은 최대한 나중에 가도록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0일때는 appendleft를 해주고, 1일때는 append를 해준다.
3. AOJ는 그 장소까지 갈때까지 부순 벽의 개수를 입력해줘야 하므로 1일때만 +1을 해준다.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ef BFS(graph):
dxy = [(1,0), (-1,0), (0,1), (0,-1)]
q = deque([(0,0)])
while q:
x, y = q.popleft()
for dx, dy in dxy:
nx, ny = x + dx, y + dy
if -1 < nx < M and -1 < ny < N and AOJ[nx][ny] == -1:
if graph[nx][ny] == '0':
q.appendleft((nx, ny))
AOJ[nx][ny] = AOJ[x][y]
else:
q.append((nx, ny))
AOJ[nx][ny] = AOJ[x][y]+1
N, M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
graph = [sys.stdin.readline() for _ in range(M)]
AOJ = [[-1 for _ in range(N)] for _ in range(M)]
AOJ[0][0] = 0
BFS(graph)
print(AOJ[M-1][N-1]-1)
'알고리즘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2960_에라토스테네스의 체 (0) | 2021.09.15 |
---|---|
[백준] 9935_문자열 폭발 (0) | 2021.09.14 |
[백준] 11279_최대 힙 (0) | 2021.09.09 |
[백준] 16236_아기 상어 (BFS 이용) (0) | 2021.09.07 |
[백준] 10026_적록색약 (0) | 2021.09.01 |